알루미늄 합금은 광산용 송풍기 설계에서 경량화와 내식성, 가공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자주 검토되는 재질이다. 특히 임펠러와 하우징, 일부 구조 부품에 알루미늄 합금을 적용하면 회전 관성 감소와 진동 저감, 설치와 유지보수 편의성 향상 등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은 탄소강에 비해 밀도가 낮아 같은 형상에서 훨씬 가볍기 때문에, 고속 회전 축류 송풍기나 소형 국부 송풍기에 적합한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의 가장 큰 장점은 경량성과 기본적인 내식성이다. 무게가 가벼우면 모터 기동 시 필요한 토크가 줄어들고, 정지와 재기동이 반복될 때도 축계와 베어링에 걸리는 부담이 감소한다. 이는 베어링 수명 연장과 진동 수준 저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은 자연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일정 수준의 내식성을 제공하므로, 습도와 수분이 높은 환경에서 탄소강보다 부식 속도가 느리다. 적절한 표면 처리와 코팅까지 병행하면, 광산 환기 설비에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은 모든 환경에 적합한 재질은 아니다. 고온 환경에서는 강도와 강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특정 화학 성분과 접촉하면 국부 부식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탄소강에 비해 탄성계수가 낮아 구조 변형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므로, 고압 원심 송풍기나 대형 주 환기 송풍기의 케이싱과 주요 구조물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 중소형 축류 송풍기의 임펠러나, 휴대성과 이동성이 요구되는 국부 환기 장비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장점이 잘 발휘된다.
알루미늄 합금을 적용할 때에는 용접과 가공, 균형 조정 기술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일부 합금은 용접성이 제한적이므로 리벳과 볼트, 특수 용접 공정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임펠러 제작 후에는 정밀한 동적 밸런싱을 통해 고속 회전에 적합한 균형을 맞추어야 하며, 운전 중 피로 균열 발생 가능성도 설계 단계에서 검토해야 한다. 방폭 환경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이 다른 금속과 접촉해 스파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적절한 절연과 구조 설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을 종합하면 알루미늄 합금은 광산용 송풍기의 모든 부위에 일괄적으로 사용하는 재질이 아니라, 용도와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재료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 시험용 송풍기나 이동식 환기 장비, 작업면 근처에 설치되는 소형 국부 송풍기에는 알루미늄 합금 임펠러가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반면 장기간 고압 운전이 요구되는 주 환기 송풍기에는 강성이 높은 강재 임펠러가 더 적합하다. 설계자는 환기 시스템 전체 요구 조건과 유지보수 전략을 고려해, 알루미늄 합금의 장점과 한계를 정확히 이해한 뒤 최적의 적용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 알루미늄 합금을 적절히 활용하면 광산용 송풍기 시스템의 무게와 에너지 소비를 줄이면서도, 환기 품질과 작업 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으며, 추가적인 설계 검토와 운전 데이터 축적은 이러한 장점을 더욱 분명하게 만들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