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진 저감은 광산과 각종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 농도를 환기와 집진 설비를 통해 체계적으로 낮추는 기술과 설비를 통칭한다. 석탄광과 금속 광산의 갱내에서는 채탄과 굴진, 파쇄와 운반 과정에서 많은 양의 미세 분진이 발생하며, 이 분진은 작업자의 호흡기 질환과 시야 저하, 설비 오염과 고장, 화재와 폭발 위험 증가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광산 경영과 안전 관리에서 분진 저감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환기 송풍기와 집진 설비를 결합한 체계적인 분진 저감 시스템이 중요하게 활용된다.
분진 저감을 위해서는 먼저 분진 발생원과 발생량, 분진의 입도와 성질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굴진과 채탄, 파쇄와 적재 구역처럼 분진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위치에는 국부 흡입 후드와 집진 덕트를 설치하고, 집진 송풍기를 이용해 오염 공기를 집진기로 이송한다. 집진기 내부에서는 물 세정 방식이나 필터 방식, 회전력과 충돌력 등을 이용해 분진을 효율적으로 포집하며, 정화된 공기는 환기 갱과 배기를 통해 갱외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분진 저감 설비는 주 환기 시스템과 긴밀히 연계되어야 하며, 갱내 전체 풍량과 압력 분포를 고려해 설계되어야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분진 저감을 위한 설비를 선정할 때에는 작업 공정과 환기 조건, 환경 규제 기준, 유지보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분진 입도가 매우 미세하거나 점착성이 큰 경우에는 습식 집진 방식이 유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건조한 분진에는 건식 집진과 필터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분진의 폭발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방폭형 송풍기와 방폭형 전동기, 안전 감시 장치를 함께 설계하여 안전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분진 저감 설비는 단일 장비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환기 송풍기와 집진기, 덕트와 제어 장치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때 그 효과가 최대화된다.
운영과 유지보수 단계에서 분진 저감 효과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정기적인 측정과 점검,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다. 갱내 분진 농도와 기류 방향, 풍속을 주기적으로 측정해 환기와 집진 설비의 운전 조건을 조정하고, 집진 송풍기의 진동과 소음, 전류를 기록해 고장을 예방해야 한다. 집진기 내부 필터와 노즐, 분리 장치는 막힘과 마모에 민감하므로 차압과 집진 효율을 기준으로 교체 시기를 관리해야 한다. 또한 덕트 내부에 축적되는 분진을 정기적으로 청소해 저항 증가를 방지하면 분진 저감 성능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관리 체계를 통해 분진 저감 설비는 광산 안전 수준과 작업 환경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핵심 수단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