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류 국부 송풍기는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공기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진 국부 환기용 송풍기로, 갱내 막장과 작업장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식 가운데 하나이다. 축류 형식은 공기 흐름이 임펠러 축을 따라 직선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길게 이어지는 덕트와 조합했을 때 압력 손실이 상대적으로 적고 효율적인 환기가 가능하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중량이 비교적 가벼워,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광산 현장에서 축류 국부 송풍기는 주로 막장과 국부 작업 구역에 설치되며, 덕트와 함께 사용되어 신선한 공기를 작업 지점까지 직접 공급한다. 가압식 설치 방식에서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덕트를 통해 막장 전면으로 밀어 넣고, 배기식 설치 방식에서는 막장에서 발생한 오염 공기를 덕트로 흡입해 밖으로 배출한다. 작업 환경과 환기 설계에 따라 이러한 방식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축류 국부 송풍기의 풍량과 전압, 설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면 막장 주변의 공기 흐름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설계와 선정 단계에서 축류 국부 송풍기는 필요한 풍량과 전압, 덕트 길이와 저항, 갱내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임펠러 직경과 회전수, 블레이드 형상은 환기 계산 결과를 반영해 결정되며, 갱내 분진과 습기, 부식 요인을 고려해 재질과 도장 시스템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방폭 요구가 있는 구역에서는 내압 방폭 구조나 적절한 방폭 등급의 전동기를 적용해 안전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소음과 진동 허용 기준을 검토해 방진 패드와 소음기, 지지 구조를 함께 설계하면 작업자의 피로도와 불쾌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운영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축류 국부 송풍기는 비교적 관리가 단순하지만, 국부 환기 성능과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임펠러와 케이싱 내부에 쌓인 분진과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하고, 블레이드의 마모와 균열, 부식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베어링 온도와 소음, 진동 변화를 관찰하면 이상 징후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으며, 덕트 연결부와 고정 장치의 이완과 손상을 점검하면 설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가 이루어질 때 축류 국부 송풍기는 오랜 기간 안정적인 국부 환기 성능을 제공하며, 광산 작업자의 안전과 생산성을 동시에 높이는 신뢰성 높은 설비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