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형 송풍기는 임펠러와 케이싱, 전동기, 소음기, 유도 날개 등 주요 부품을 표준화된 모듈 단위로 구성하여, 광산 환기 시스템을 유연하게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개발된 송풍기이다. 광산 개발 초기에는 비교적 작은 용량의 송풍기로 시작한 뒤, 생산 규모 확대와 갱도 연장에 따라 모듈을 추가하여 용량을 키우는 방식으로 투자 시기를 분산할 수 있다. 또한 고장이 발생한 모듈만 분리해 점검과 수리를 진행할 수 있어, 주 환기 능력을 유지한 채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광산용 모듈형 송풍기는 주로 지상 주 환기 설비와 갱내 보조 환기 설비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지상 환기실에서는 동일 사양의 축류 송풍기 모듈을 여러 대 병렬 또는 직렬로 조합해 총 풍량과 정압을 조정할 수 있다. 갱내에서는 국부 송풍기 모듈과 집진 모듈, 소음 저감 모듈을 조합하여 작업장 특성에 맞는 맞춤형 환기 설비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광산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장기 프로젝트에서 특히 유리하며, 환기 네트워크가 복잡해지는 상황에서도 단계별 대응이 가능하다.
모듈형 송풍기의 설계에서는 각 모듈의 호환성과 연결 구조가 매우 중요하다. 케이싱 플랜지와 연결 덕트, 전기 단자와 제어 신호 인터페이스가 표준 규격에 맞추어 설계되면, 현장에서 모듈을 쉽게 교체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모듈 간 운전 상태를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 풍량과 압력, 전류와 온도 데이터를 통합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특정 모듈의 과부하와 과열을 조기에 발견하고, 계획 정비를 통해 갑작스러운 정지를 예방할 수 있다.
유지보수 측면에서는 모듈형 구조의 장점이 더욱 뚜렷하다. 임펠러와 베어링, 전동기와 소음기 등 개별 모듈을 작업장 밖 정비실로 이동해 점검할 수 있어, 갱내 작업 시간을 줄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비 모듈을 일정 수량 확보해 두면, 고장 모듈을 즉시 교체하여 환기 능력 저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석탄광과 금속 광산, 터널 공사와 같은 장기 연속 작업 현장에서 환기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