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식성 축류 송풍기는 부식성 가스와 습기가 존재하는 환기 계통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축류 송풍기로, 큰 풍량과 경량 구조, 내식 성능을 동시에 갖춘 것이 특징이다. 축류 송풍기는 공기를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구조 덕분에 긴 덕트와 직선 구간에서 효율적인 환기 흐름을 제공하며, 특히 보조 환기와 국부 환기, 지상 설비 환기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부식성 가스와 습한 공기, 미스트가 포함된 환경에서는 일반 재질의 축류 송풍기가 빠르게 부식되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임펠러와 허브, 케이싱에 내식 재질과 코팅을 적용한 내식성 축류 송풍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산과 화학 공정에서 내식성 축류 송풍기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다. 지하 갱내에서 습식 집진 설비와 세정 설비, 습기와 부식성 가스가 함께 존재하는 구간에서는 내식성 축류 송풍기가 보조 환기와 국부 환기를 담당하며, 갱내 공기 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지상 공장 건물과 반응기 주변, 폐수 처리장과 세정 탑 주변에서도 내식성 축류 송풍기가 설치되어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한다. 이러한 설비는 대체로 덕트와 함께 사용되며, 가벼운 구조와 설치의 용이성 덕분에 유지보수와 교체가 비교적 간편하다.
내식성 축류 송풍기를 설계·선정할 때에는 필요한 풍량과 압력, 덕트 길이와 직경, 가스 성분과 온도, 습도와 응축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재질 선택에서는 스테인리스강과 부식성 환경에 적합한 합금, 내식성 코팅을 조합하여 경제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임펠러 형상은 부식 환경에서도 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적화해야 하며, 허브와 블레이드의 연결부는 부식과 피로가 동시에 작용하는 구간이므로 충분한 여유와 보강이 필요하다. 또한 축과 베어링, 씰 부위는 부식수와 미스트가 직접 침투하지 않도록 밀봉 구조와 배수 구조를 갖추어야 하며, 모터와 전기 부품은 별도의 보호 구조와 적절한 방수 등급을 확보해야 한다.
운전과 유지보수 단계에서 내식성 축류 송풍기는 부식 상태와 성능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기 점검 시에는 임펠러 표면과 코팅 상태, 볼트 체결부, 허브 연결부, 케이싱 내부를 세밀하게 관찰하고, 부식 흔적이나 코팅 박리 부위가 발견되면 조기에 보수해야 한다. 덕트 내부의 응축수와 슬러지를 제거하는 배수 작업도 내식 성능 유지에 도움이 된다. 또한 환기 측정을 통해 실제 풍량과 압력을 확인하고, 설계 값과 차이가 클 경우 덕트 저항과 송풍기 성능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이러한 관리가 잘 이루어질 경우 내식성 축류 송풍기는 부식성 환경에서도 오랜 기간 안정적인 환기 성능을 유지하며, 광산과 화학 공정, 환경 설비에서 신뢰할 수 있는 환기 장비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