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 송풍기는 임펠러와 케이싱, 주요 내면 부품에 스테인리스 재질을 적용하여, 부식성 가스와 높은 습도, 미세 분진이 공존하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전되도록 설계된 내식성 송풍기를 의미한다. 광산과 연계된 선광 공장과 세척 공장, 화학 처리 설비, 폐수 및 폐가스 정화 설비에서는 산성 가스와 알칼리성 가스, 염류 미스트가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조건에서 일반 탄소강 송풍기는 짧은 시간 안에 부식과 마모가 진행되지만, 스테인리스 송풍기는 내식성이 뛰어나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다. 특히 광산용 환기 설비에서는 가스 누출과 설비 정지에 따른 안전 위험을 줄이기 위해 내식성 송풍기를 채택하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다.
광산 분야에서 스테인리스 송풍기는 주로 부식성 회풍과 화학 처리 공정, 습식 집진 설비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광석을 세척하고 분급하는 공정에서는 각종 화학약품이 사용되며, 세척 탑과 집진기, 배관망을 통해 습기가 많은 가스가 순환한다. 이때 스테인리스 송풍기를 사용하면 케이싱과 임펠러에 부식 손상이 적게 발생하여, 환기 성능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광산 주변의 화학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가스를 정화하는 흡수탑과 세정탑에서도 스테인리스 송풍기가 널리 사용되며, 내식성과 위생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환경에서 좋은 선택으로 평가된다.
스테인리스 송풍기를 설계·선정할 때에는 가스의 성분과 농도, 온도와 습도, 분진의 종류와 입도, 필요한 풍량과 압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스테인리스 재질도 종류에 따라 내식성이 다르므로, 산성 환경과 염분 환경, 고온 환경에 맞는 등급을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는 염화물 응력 부식에 강한 재질을 고려해야 하고, 높은 온도에서 운전하는 경우에는 내열 성능과 크리프 특성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또한 스테인리스는 탄소강에 비해 밀도가 높고 가공성이 다르기 때문에, 임펠러 형상과 두께, 보강 구조를 적절히 조합하여 강도와 효율을 동시에 확보해야 한다.
운영과 유지보수 단계에서 스테인리스 송풍기는 일반 송풍기에 비해 부식 부담이 적지만, 여전히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가스 성분과 운전 온도가 설계 범위를 초과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내부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과 침전물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면, 효율 저하와 국부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와 다른 금속이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전기화학적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접촉 면의 절연과 도장 상태를 잘 유지해야 한다. 베어링과 축, 씰 등 기계적 부품은 재질에 관계없이 동일한 수준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며, 인버터 제어와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함께 적용하면, 에너지 절감과 설비 수명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스테인리스 송풍기는 광산과 화학, 환경 산업에서 내식성 환기 설비의 표준적인 선택지로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