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금속 광산 환기는 석회석, 규사, 석재, 점토 등 비금속 광물을 채굴·가공하는 광산에서 분진과 열, 소음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환기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광산에서는 금속 광산처럼 가연성 가스 폭발 위험이 크지 않을 수 있지만, 미세 분진과 장시간 작업이 작업자의 건강과 설비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비금속 광산에서는 광물의 특성과 채굴 방식, 생산 공정을 고려해 적절한 송풍기와 환기망을 설계하고, 집진 설비와 결합해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갱내 채굴 방식을 사용하는 비금속 광산에서는 금속 광산과 유사한 환기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갱도 전체에는 주 환기 송풍기로 축류 송풍기 또는 대향 회전 축류 송풍기를 사용해 기본 기류를 형성하고, 채굴 구역과 굴진 구역에는 국부 가압식 송풍기를 설치해 신선한 공기를 작업면으로 직접 공급한다. 분진과 열이 집중되는 구역에는 배기식 송풍기와 배기 덕트를 설치하여 오염된 공기를 신속히 배출하고, 필요 시 습식 분무와 집진 설비를 덧붙여 분진 농도를 추가로 낮춘다. 이러한 구조는 분진과 열, 습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와 건강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노천 채굴과 실내 가공 공정이 결합된 비금속 광산에서는 실내 환기와 분진 제어가 특히 중요하다. 분쇄기, 분급기, 선별기, 포장 설비 주변에는 원심 송풍기와 집진 송풍기를 조합해 분진을 포집하고, 필터와 사이클론, 백필터를 통해 포집된 입자를 회수한다. 이때 송풍기의 풍량과 압력, 덕트 직경과 배치, 흡입 후드 형상을 적절히 설계하면 분진이 작업자 호흡 구역으로 퍼지는 것을 줄이고, 공정 주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온도와 습도를 고려해 신선한 외기를 도입하는 환기 설비를 함께 운전하면, 여름철 고온 환경과 겨울철 결로 문제도 완화할 수 있다.
비금속 광산 환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측정과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분진 농도와 기류 속도, 온도와 습도, 소음 수준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설계 기준과 비교해 부족한 구역을 찾아 보완해야 한다. 인버터 제어를 활용하면 생산량과 운전 시간대에 따라 송풍기 회전수를 조정해, 과도한 환기를 줄이면서도 작업 환경 기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 설비와 집진 설비의 유지보수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필터 막힘과 덕트 누설, 임펠러 마모를 조기에 발견하면 돌발 정지를 줄이고 설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처럼 비금속 광산 환기는 단순히 공기를 바꾸는 수준을 넘어, 작업자의 건강 보호와 생산 안정성, 에너지 절감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종합적인 기술로 이해되고 있으며, 적절한 송풍기 선정과 환기망 설계,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